전체 글

블록체인

FireFly와 Fabric의 스마트 컨트랙트 배포,실행 비교

Firefly와 Fabric 스마트 컨트랙트 배포,실행 비교 Fabric 스마트 컨트랙트 배포 간단하게 설치 cd fabric-samples/test-network # org1, org2 모두 설치됨 ./network.sh deployCC -ccn basic -ccp ../asset-transfer-basic/chaincode-go/ -ccl go 구체적인 설치 과정 cd fabric-samples/test-network # peer 명령은 패키징을 수행하기 위해 core.yaml파일이 필요함 touch core.yaml # package chaincode peer lifecycle chaincode package basic.tar.gz --path ../asset-transfer-basic/chainc..

블록체인

Hyperledger Fabric SDK를 활용한 트랜잭션 수행

Fabric Gateway SDK란 Fabric Gateway는 서비스로, Fabric 네트워크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간단하고 최소화된 API를 제공한다. Fabric Gateway의 역할 트랜잭션 제안을 검토하여 스마트 컨트랙트(체인코드)를 호출하고 결과를 클라이언트에 반환한다. 게이트웨이는 게이트웨이 피어와 동일한 조직의 보증 피어를 선택하고 블록 높이가 가장 높은 피어를 선택한다. 서명 정책에 필요한 보증 응답들을 수집하고 서명이 필요한 트랜잭션 봉투를 클라이언트에 반환한다. Ordering Service에 서명된 트랜잭션 봉투를 제출한다. 클라이언트에게 ledger에 커밋 되었는지에 대한 결과와 커밋 상태 코드를 제공한다. 체인코드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수신한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에서 스마트 컨..

블록체인

하이퍼 레저 패브릭 - 개요

이 글은 https://hyperledger-fabric.readthedocs.io/en/release-2.4/ 를 정리하였습니다. A Blockchain Platform for the Enterprise — hyperledger-fabricdocs main documentation Enterprise grade permissioned distributed ledger platform that offers modularity and versatility for a broad set of industry use cases. Note If you have questions not addressed by this documentation, or run into issues with any of the tuto..

Infra

Docker / Kubernetes

Docker란 Docker란 리눅스의 응용 프로그램들을 프로세스 격리 기술들을 사용해 컨테이너로 실행하고 관리하는 오픈 소스이다. 컨테이너는 Host OS 상에서 리소스를 논리적으로 구분하여 마치 별도의 서버인 것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가상화를 사용하는 이유는? 향상된 컴퓨터의 성능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가상화 기술이 많이 등장하였다. CPU 사용률이 저조한 서버들은 리소스 낭비라고 볼 수 있다. 그렇다고 모두 한 서버에 올린다면 안정성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안정성을 높이며 리소스도 최대한 사용하기 위해 서버 가상화를 사용한다. 컨테이너란? 컨테이너는 가상화 기술 중 대표적인 예시이다. 기존 OS를 가상화 시키던 것과 달리 컨테이너는 OS레벨의 가상화로 프로세스를 격리시켜..

Infra

Jenkins VS Travis VS Github action

Jenkins, Travis, Github Action은 개발자의 코드가 실시간으로 병합되고, 테스트가 수행되는 환경, main 브랜치가 푸시되면 배포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CI,CD 툴이다. CI란 VCS(Git,SVN 등)시스템에 push가 되면 자동으로 테스트와 빌드가 수행되어 안정적인 배포 파일을 만드는 과정이다. CD란 이 CI 빌드 결과를 자동으로 운영 서버에 무중단 배포까지 진행되는 과정을 CD라고 한다. 즉, 코드 수정 -> PR -> 테스트 코드 실행, 코드 검증 -> Approve -> Merge 간단하게 사용하는 이유를 설명하자면, 각자 다른 사람들이 개발한 코드를 수작업으로 merge할 수 없었고, 따라서 지속적으로 코드가 통합되는 환경(CI)을 구축하게 되었..

Review

3-1학기 방향성 및 3월 목표

최근 생각의 변화가 있었다. 크게 두 가지가 있었는데, 하나는 스타트업에 대한 관심도가 커졌고 두번째로는 데브옵스가 백엔드 개발자-> 데브옵스로 가는 경우가 많다는 것? 정도가 있다. 이에따라 공부 목표나 방향성을 새로 설계해야겠다고 생각했다. 아무래도 스타트업는 백엔드 개발자가 운영까지 담당하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하고, 네카라쿠배 같은 대기업은 클라우드 개발자도 많이 뽑지만 어쨌든 궁극적으로 내가 하고싶은 건 Devops 라고 생각되어 백엔드 개발자가 더 적합하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Spring을 기본적으로 탄탄하게 공부하고 프로젝트에 간혹 nodejs와 클라우드를 활용할 계획이다. 요약하면 전체적으로 Spring과 클라우드 비중을 1:1 에서 Spring을 main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공부하고 이..

Infra

Jenkins

이 글은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전에 필요한 사전 지식을 정리하기 위해 쓴 글입니다. Jenkins란? Jenkins는 소프트웨어 구축, 테스트, 전달 및 배포와 관련된 모든 종류의 작업을 자동화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오픈 소스 자동화 서버이다. Jenkins는 시스템 패키지, Docker 또는 JRE(Java Runtime Environment)가 설치된 모든 환경에서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자동화 시스템은 다양한 플러그인들을 조합하여 일을 처리하는 Pipeline을 통해 CI/CD Pipeline을 구축할 수 있다. Pipeline이란? 프로세서에서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 명령어 처리 과정으로 명령어 처리를 여러 단계로 나누어 단계별로 동시에 수행하여 병렬화 시키는 것을 말한다. Jenkins에서 Pip..

Review

몰입캠프

몰입캠프의 생활 몰입캠프는 4.5주의 기간 동안 진행되었다. 사랑관에서 살게 되었는데 3인실을 2인에서 사용해서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었고 샤워실 및 화장실 시설이 너무너무너무 좋았다. 주로 코딩하는 장소인 N1도 시설이 너무 좋아서 놀랐던 기억이 난다. 사실 기숙사에 있었던 시간을 자는 시간 빼면 하루에 한시간도 있지 않았던 것 같지만.. 아무튼 좋았다. 몰입캠프에 대한 생각 내가 몰입캠프에 참여한 목적은 다양한 사람들 만나기 + 코딩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다. 몰입캠프의 생활은 매우 자유로워서 원하는 프로젝트 및 출근시간도 엄청 다양하다. 주제는 하고싶은 것을 만들면 되고 1,2주차는 앱 기반 3,4주차는 원하는 방식으로 정말 자유롭게 마음맞는 동료?들과 진행할 수 있다. 출근은 한 오전 10시부터..

Review

12월 리뷰

12월 리뷰 2021년 12월 기말고사는 그냥 적당히 친 것 같다. 더 열심히 할 수 있었고 많이 아쉬운 기말고사였지만 다음 학기에는 분명히 더 잘 할 수 있을거라고 생각한다. 못한 거 아니니깐 더 열심히 잘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 모의 해커톤은 다른 대외활동 일정으로 끝까지 참여하지 못해 많이 아쉽다. 몰입캠프에 와서 잘 적응 중인 것 같다. 추가로 아마도 이번 주 말? 쯤에 1주차 리뷰를 쓰지 않을까 싶다. 아니면 다음주 화? 수? AWS 기본강의와 코딩시간 지키기는 시험기간 예측 실패로 망했다.. 그래도 11월보다 열심히 산 1달이었다고 생각한다. 1월 목표 몰입캠프에서 다양한 프로그래밍 경험을 해본다.(한달 동안 있음) 1월 각오 몰입캠프가 끝난 2월 달부터 본격적으로 AWS 자격증 준비를 시..

Review

11월 Review 및 12월 목표

11월 리뷰 AWS, Spring, Android,Node.js 목표를 세웠었다. 결과 : 1/4 정도 성공..? 원인 : 공부량 부족, 대외활동으로 인한 계획 수정, 시험기간 초반에 공부를 너무 안했던 것 같다. 어떻게 공부할 지 방향성이나 이런 게 덜 정해졌었다. 이제 어느 정도 어떻게 해 나가야 할 지 정했다. 그리고 앱이나 서버를 미리 다뤄보려고 하다보니 AWS,Spring에 많이 투자를 못한 것 같다. 그래도 번개프로젝트 한 건 잘한 것 같다. 웹응프 과제나 이해에 도움이 많이 되었다. 1달 동안 변화 : 방향을 좀 더 구체화 했다. Spring과 AWS를 공부하는 것 + AWS 자격증 준비 + 다음 학기할 활동 정리 12월 목표 기말고사 잘 칩시다. GDSC 모의 해커톤 참여 몰입캠프 준비 A..

쩨이호
쩨이호